인천공항 면세품 모바일과 QR로 손쉽게 인도받을 수 있어
- 3일부터 신라면세점 이용객 모바일로 순번서비스 가능
지난해 8월부터 롯데면세점 QR 이용한 서비스 제공 -
- 기사입력 : 2022-05-03 10:57:35
- 최종수정 : 2022-05-03 14:06:00
- 김재영 기자
![]() |
▲ 사진=신라면세점 제공 / 인천공항 신라면세점 매장 전경(2022.05.03) |
인천공항이 포스트코로나와 일상회복에 발맞춰 국제선 가동율을 높이고 해외여행에 나설 내국인 및 외국인 면세품 구매자들에게 모바일과 QR로 구입한 제품의 인도서비스를 업그레이드 한다. 3일부터 신라면세점에서 면세품을 구입한 고객들은 인천공항을 통해 출국할 때 모바일로 면세품 인도장 혼잡도와 순서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이에 앞서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8월부터 QR서비스를 이용해 면세품 인도장 순번발권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 자료=인천공항 제공 / 모바일 순번발권 서비스 개요도(2022.05.02) |
롯데면세점과 신라면세점의 차이는 QR을 활용하는 방식이냐 아니면 하드웨어적으로 설치된 비콘을 이용하는 방식이냐의 차이 일뿐 근본적으로 원리는 동일하다. 신라면세점이 3일부터 실시하는 방식은 인천공항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 그리고 탑승동에 사전에 설치된 총 3,668개의 하드웨어 비콘을 이용해 이용객이 근처를 지나갈 때 블루투스로 비대면·비접촉 방식으로 면세품 인도장 대기번호표가 발급되고 대기인원을 실시간으로 안내해 주는 방식이다.
![]() |
▲ 사진=신라면세점 제공 / 모바일 순번발권 서비스 사례(2022.05.03) |
반면 롯데면세점이 지난해 8월부터 도입한 QR 방식은 인도장 인근에 비치된 롯데면세점 QR 코드를 인식하면 순번 자동 발급과 동시에 인도장 혼잡도 및 상품 인도 예상 소요시간 등을 체크할 수 있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고객 위치 정보 서비스를 활용한 비콘 서비스와는 달리 고객이 공항 출국 심사 후 롯데면세점은 위치 정보 서비스 기반의 모바일 서비스 추가와 관련해 인천공항공사와 지속적인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인천공항공사 운항통신팀 전병식 팀장은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비접촉 등 언택트 트렌드가 확산된 상황에서 이미 설치된 비콘을 활용해 롯데 및 신세계 등 국내 면세사업자의 추가적인 서비스 구축을 타진 중”이라며 “포스트코로나 시대 일상회복에 따른 항공수요 회복시점에 면세품 인도장의 혼잡과 긴 대기시간을 해소할 수 있는 서비스 업그레이드로 여객 편의가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는 국내 면세업계는 최근 여권 정보, 출국 정보, 주문서 등으로 나뉘어 있던 결제 단계를 하나로 통합하고 간소화하는 등 고객 편의성을 높이고 있어 포스트코로나 시대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 (주)티알앤디에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