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정부, 4월 15일부터 ‘전자 예방접종증명서’ 발급서비스 개시
- 15일 14시까지 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에 미등록
블록체인 기술 및 분산신원인증(DID) 탑재한 스마트폰 앱으로 구현
본인 인증은 물론 상대방 인증도 QR코드로 손쉽게 가능
전자 예방접종증명서는 아직 공인된 백신여권이라고 보긴 어려워
간편인증을 대체하는 방식으로 우선 활용, 이후 격리완화등 고려 -
- 기사입력 : 2021-04-15 14:38:53
- 최종수정 : 2021-04-15 14:51:48
- 김재영 기자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14일 “4월 15일부터 블록체인 기술을 탑재한 앱으로 코로나19 백신 ‘전자 예방접종증명서’ 발급이 가능해 졌다”며 “그동안 예방접종도우미·정부24 누리집에서 출력 또는 전자문서 지갑으로 예방접종 증명서를 발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였지만 오늘부터 발급되는 코로나 19 전자 예방접종증명서는 위・변조를 원천 방지하고 개인정보 이용도 최소로 이용해 접종사실을 인증하는 등 종이증명서의 단점을 최대한 보완했다”고 밝혔다.
▲ 사진=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웹사이트 접종증명서 신청페이지 갈무리(21.04.14) |
질병청 관계자는 “코로나19 전자 예방접종증명서의 위·변조 방지 및 진위 여부 확인을 위해, 블록체인과 분산신원인증(DID) 기술이 적용된다”며 이를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민간 벤처기업인 ‘블록체인랩스(공동대표 엄지용, 김종현)’와의 업무협약을 4월 14일 오후 1시 30분에 체결했다”고 밝혔다.
▲ 사진=질병청·블록체인랩스가 승인한 '쿠브(COOV)' 작동 화면(21.04.15) |
질병청이 14일 공개한 ‘쿠브(COOV)’는 별첨자료를 통해 개인정보의 보호와 디지털 증명서의 제출과 상대방의 디지털 증명서를 QR코드로 검증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활용가능성을 갖고 있다는 특징을 강조하고 있다. 다만 15일 14시까지 애플 앱 스토어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등록이 되고 있지는 않은 상황이다. 질병청 및 정부에서는 등록절차와 관련된 문제로 조만간 등록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 사진=질병청·블록체인랩스가 승인한 '쿠브(COOV)' 인증 샘플화면(21.04.15) |
블록체인랩스 관계자는 “‘쿠브’는 15일부터 공개될 초기 배포버전에서 한국어와 영어 두 가지 언어가 지원되며 나머지 세계 각국의 언어는 추가로 업데이트 될 것”이며 “휴대폰을 통한 본인인증 과정을 거친 후 본인인증 증명서를 발급받고 코로나19 전자 예방접종증명서를 발급받는 과정을 거친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사용자가 예방접종을 맞지 않았거나 예방접종 기록이 데이터 서버에 반영되지 않은 경우에는 ‘발급 가능한 증명서가 없습니다’라는 메시지 출력이 이뤄진다”며 “접종 후 최대 24시간까지는 발급과정으로 인해 증명서가 발급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전했다.
한편 질병청 관계자는 오늘부터 적용 되는 ‘전자 예방접종증명서’가 ‘백신 여권’과의 구분도 명확히 했다. 질병청 관계자는 “오늘부터 발급되는 코로나19 전자 예방접종증명서는 예방접종 사실을 질병관리청장, 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이 예방접종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발급하는 전자 문서”라며 “백신 여권은 아직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용어는 아니며 규약이 정해지거나 협약을 통해 합의된 내용도 아니기 때문에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증명서’·‘PCR 음성확인서’·‘코로나19 확진 후 회복증명서’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분명히 했다.
또 향후 전자 예방접종증명서의 활용도에 대해서도 이 관계자는 “전자출입명부 방식과 동일하게 내장된 QR코드를 이용해 간편인증 위주로 활용될 계획이며 자가격리 완화 지침에 적용하거나 하는 추가적인 활용 방안에 대해서는 사회적 거리두기 수준이나 예방접종 완료자의 범위나 수준 등을 고려해 추가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때문에 질병청은 물론 정부가 세계적인 추세에서 ‘백신 여권’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서둘러 도입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이번 코로나19 전자 예방접종증명서는 위변조 사례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등 종이증명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추진하였다”고 밝히면서, “접종자의 전자예방접종증명서가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주)티알앤디에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