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환율조작국 지정 피해, 면세업계 일단 안도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 가능성, 한국도 지정 우려 컸던 상황
한국 뿐 아니라 중국 지정돼도 국내 면세매출 감소 우려
환율조작국 지정 시 면세품 가격 상승·소비 심리 위축 등 문제 발생
한국 지정 가능성 낮지만 중국은 여전히 높아, 내년 보고서 주목
  • 기사입력 : 2018-10-18 18:18:06
  • 최종수정 : 2018-10-19 10:17:11
  • 김일균 기자
▲사진=김선호 기자 

한국과 중국이 환율조작국 지정을 피하면서 국내 면세업계도 일단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특히 최근 중국 정부의 다이고 단속과 단체 여행 제한 등의 악재를 겪고 있는 국내면세업계의 상황에서 천만다행이다.

최근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일각에서는 한국까지 함께 지정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 상황이었다. 그러나 미 재무부의 반기 환율보고서가 발표돼 양국 모두 기존과 같은 관찰대상국으로 유지됐다.

한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원화의 가치가 올라 달러를 기준으로 한 판매가가 상승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중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돼도 위안화의 가치가 올라 달러가 비싸지기 때문에 소비 심리가 위축돼 매출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이번 발표로 국내 산업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는 일단 제거됐지만 앞으로도 환율조작국 지정의 가능성은 남아있다. 특히 미·중 간 무역전쟁이 이어지는 한 중국은 여전히 지정 가능성이 높을거라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면세점 관계자는 "면세점 뿐만 아니라 브랜드 측에서도 환율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신경이 많이 쓰인다"라면서 "특별한 대응 전략은 없었지만 매출에 영향 줄 수 있는 변수를 피해서 다행이라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 (주)티알앤디에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김일균 기자

TR&DF 뉴스레터

TR&DF 뉴스레터
등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