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산업 일자리 대책 위해 ‘유통TF’ 촉구 기자회견 열려

변화되는 유통환경, 법·제도가 속도감 있게 따라가지 못해
대형마트 헐값 매각, 새로 등장하는 신산업 면밀하게 검토 필요한 상황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은 물론 온라인 유통업 전반에 대한 법 개정 필요
면세업계 근무인력 반토막, 다가오는 7월 2차 구조조정 두려움
  • 기사입력 : 2021-05-21 17:31:51
  • 최종수정 : 2021-05-21 17:37:43
  • 김재영 기자
▲ 사진=서비스연맹 제공 / 유통TF 구성 촉구 기자회견(2021.05.21)

 

코로나로 인해 유통산업이 급격히 변화되며 구조 조정되는 과정에서 유통산업 노동자들이 정부 일자리위원회에 유통TF 구성을 촉구하는 기자회견과 의견서를 21일 제출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은 5월 21일(금) 오전 10시 일자리위원회 앞에서 유통산업 변화에 따른 고용대책을 촉구하며 일자리위원회에 유통TF 구성을 요청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일자리위원회에 의견서를 제출했다.

강규혁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위원장은 취지발언을 통해 “유통산업이 급변함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단지 지엽적인 대·중·소 유통 간의 상생협력 등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강 위원장은 “유통TF를 구성해 유통산업 발전법 전면개정안 마련(온라인 유통업에 대한 법제도 정비), 공정한 산업전환을 위한 정부의 대책 마련, 양질의 일자리 창출, 유통업 상생발전협의회에 노동자의 참여 보장, 기업의 인수합병과 구조조정에 대한 노동자 보호조치 강화를 중심으로 논의할 것”을 요구했다.

뒤이어 나온 정민정 마트산업노조 위원장은 “일상적인 대형마트의 구조조정 상황과 더불어 투기자본 사모펀드가 부동산 투기를 위해 알짜 매장을 매각하고, 협력업체 노동자, 직영노동자, 입점업주 등 대규모의 노동자를 길거리로 내몰고 있는 현실”에 대해 가감 없이 전했다.

또 하인주 백화점면세점판매서비스노조 위원장은 “유통산업발전법 전면개정을 촉구하며 무점포판매(온라인 판매)에 관한 제대로 된 규정조차 없는 실정과 신산업(쿠팡) 규제라는 논쟁을 넘어 온라인 유통업에 대한 법·제도 전반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 사진=서비스연맹 제공 / 유통TF 구성 촉구 의견서 전달(2021.05.21)

면세점 직원인 박가영씨는 “코로나 이후 초토화 되고 있는 면세점 업의 현실을 지적하며 근무인력이 절반도 안되게 줄어든 상황에서 면세점 협력업체는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음에도 그냥 폐업하고 직원들은 일자리를 잃고 있다”며 “코로나를 핑계로 매출이 좋은 회사도 권고사직과 무급 휴직을 강요하고 있는데 정부는 재벌 면세점의 임대료 감면으로 모든 것을 다한 것처럼 행세하고 있다”고 강하게 성토했다.

특히 박가영씨는 “작년 인천공항 면세점 임대료를 감면해줄 때 대기업 면세점들이 약속한 약속 사항을 전혀 이행하고 있지 않다”며 “당시 체결한 ‘협력업체의 고용안정 약속’에 대해 강제 이행을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소리 높였다. 또 그는 “7월이면 고용유지지원금 지급기한 180일이 끝나기 시작하고 절반으로 줄어든 면세업 종사자들은 다가올 제2차 구조조정을 두려워 하고 있다”고 말하며 “정부가 본격적으로 나서지 않는다면 수많은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는 것은 물론 이들이 부양하는 가족까지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주)티알앤디에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김재영 기자

TR&DF 뉴스레터

TR&DF 뉴스레터
등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