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국경 간 전자상거래 규모 확대…지난해 4.9%↑ 2조7,700억 위안 전망
- 코로나19 영향에도 국경 간 전자상거래 시장 빠른 성장
정부 정책 지원, 정보기술 발달로 시장확대 기대
해외 진출 위한 중요 수단될 듯 -
- 기사입력 : 2021-01-22 17:18:29
- 최종수정 : 2021-01-22 18:05:24
- 육해영 기자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규모가 코로나19 영향에도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최근 중국 정부가 침체된 내수 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국경 간 전자상거래 정책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고, 온라인에 익숙한 소비자들이 주요 구매층으로 떠오르면서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코트라 김호대 선양무역관은 지난 14일 트렌드 보고서를 통해 “국경 간 전자상거래의 경우 지금까지 ‘B2B’(Business to Business)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이동통신기술, 스마트폰, 온라인 결제기술 등의 발달로 인해 ‘B2C’(Business to Consumer), ‘C2C’(Consumer to Consumer) 방식으로도 점차 발달하고 있다”며 “소비자층 변화 및 중국 정부의 다양한 우호정책으로 향후 국경 간 전자상거래 시장 확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앞서 중국 정부는 2004년 온라인 결제, 물류 정보, 추적시스템 기능을 제공해 국경 간 전자상거래 토대를 마련하고,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외부투자정책을 등의 우호적인 정책을 펼치며 국경 간 전자상거래 산업의 변화를 이끌어냈다. 특히 이 시기 대형 플랫폼 등장과 B2C 거래, 자영업 비율 증가로 중국 내 온라인 산업 생태계는 한층 더 발전했다. 이에 따라 전자상거래나 온라인으로 물품을 구매하는 데 익숙한 90년대 생 소비자들의 중요성은 점점 높아졌다.
▲출처=코트라(KOTRA) 김호대 중국 선양무역관, 중국 언론 매체, 도표=육해영 기자 |
이후 코로나19가 확산된 2020년 중국 정부가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국경 간 전자상거래 발전 지원 정책을 연이어 발표하면서 시장 규모는 더욱 커지고 있다. 발표 내용은 주로 전자상거래 시험구 내 부대시설(물류서비스, 창고) 기초를 다지거나, 비용을 지원하는 등 진출기업에게 다양한 지원 및 해당 시험구 범위를 확대한다는 내용이다. 이에 따라 2020년 국경 간 전자상거래 수입 규모는 코로나19 여파에도 전년 대비 4.9% 성장한 2조7,700억 위안(약 481억 원)으로 예측된다.
![]() |
▲출처=코트라(KOTRA) 김호대 중국 선양무역관, 중국 언론 매체 |
또 국경 간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를 키우기 위해 구매기준도 대폭 변화시켰던 점도 시장 규모 확대에 영향을 끼쳤다. 중국 정부는 2019년부터 개인 해외직구 한도액을 기존의 1회 2,000위안(약 34만 원), 연간 2만 위안(약 341만 원)에서 1회 5,000위안(약 85만 원), 연간 2만6,000위안(약 443만 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또 해외직구 상품의 통관속도를 위해 통관신고서 없이 개인물품으로 통관하는 ‘해외직구 통관정책 시범도시’도 지속적으로 늘려왔다.
이에 따라 중국 국경 간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이용률은 정보기술의 발달과 플랫폼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 시장조사 기관 ‘아이아이미디어’(iimedia)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국경 간 전자상거래에 대해 응답자 중 65.3%가 “이용률이 높아질 것”이라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무역관은 “국경 간 전자상거래는 정부의 정책·제도적 지원, 구매기준의 변화, 판매 물품 및 수단의 다양화의 요인 및 대외환경이 변화됨에 따라 빠르게 성장할 것”이며 “해외로 진출하기 위해서 중요한 하나의 수단으로 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어 “점차 주력소비자층으로 떠오르는 세대가 온라인을 통한 물품 구매에 대한 진입장벽이 없는 만큼 중국 내 수출을 희망하는 기업의 경우 국경 간 전자상거래에 대한 이해도와 앞으로의 확장 가능성에 대해서 꾸준히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조언했다.
[ⓒ (주)티알앤디에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