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면세점 입찰 앞두고 무리하게 베팅한 속내

인천공항, ‘스마트 면세 서비스’ 항목 추가로 온라인면세점 운영 의지 드러내
사실상 정체된 출국장면세점 매출 올리기 위한 마지막 수단인가
구체적인 해외공항 예시로 들었으나 시내면세점 발달한 국내 시장과 맞지 않아
공항 발전보다 면세점 매출에만 관심있다는 비판 피하기 어려워
  • 기사입력 : 2020-01-29 15:51:02
  • 최종수정 : 2021-02-24 19:46:01
  • 육해영 기자

인천공항공사(사장 구본환, 이하 인천공항)가 면세점 입찰 관련 제안요청서(이하 RFP)에 ‘스마트 면세 서비스’ 항목을 추가하면서 온라인면세점 운영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RFP에 표기된 내용만 보면 인천공항이 플랫폼을 직접 구축하고 면세사업자는 연계된 쇼핑 채널을 통해 스마트 면세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인천공항은 여행객의 쇼핑 편의를 위해 스마트 면세 서비스를 도입한다고 취지를 밝혔다. 그러나 업계는 정체된 출국장면세점 매출을 끌어올리기 위한 마지막 수단으로 보고있다. 특히 이를 반대하고 있는 관세청과 최종 협의도 완료되지 않았지만 입찰전제조건으로 공개하면서 논란이 불거지고 있는 상황이다. 곧 공개될 관세청 특허신청 공고에서 관세청은 이를 허가 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인천공항이 추진하고자 하는 ‘스마트 면세 서비스’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고객이 면세품을 주문하고, 공항공사에서 지정하는 오프라인 매장 내 데스크에서 결제 후 제품을 수령하는 형태로 운영될 예정이다. 인천공항은 면세점 입찰 RFP를 통해 “히드로, 싱가폴 창이 등 해외 선진공항에서 이미 온라인 서비스가 시행 중인만큼, 인천공항 역시 해외공항에 뒤처지지 않도록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며 구체적인 해외공항을 예시로 들어 온라인면세점 도입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했다.  

 

▲인포그래픽 제작=육해영 기자

하지만 인천공항이 온라인면세점에 눈독을 들이는 속내는 따로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면세점 운영을 통해 정체된 출국장면세점 매출을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다. 더불어민주당 김정우 의원이 공개한 관세청 ‘19년 12월 기준 보세판매장 매출’ 자료에 따르면 출국장면세점 매출은 17년 2조7,571억 원, 18년 3조524억 원(10.7%), 19년 3조2,519억 원(6.5%)으로 성장률이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어 돌파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반면 시내면세점의 온라인면세점 매출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17년 시내면세점 매출은 11조1,168억 원으로 그 중 온라인면세점이 3조441억 원(27.4%)의 매출을 올렸다. 18년에는 그보다 많은 15조3,521억 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그 중 온라인면세점은 4조3,388억 원(28.3%)을 기록했다. 시내면세점이 온라인면세점으로 매출효과를 톡톡히 누리자 인천공항도 온라인면세점을 운영하면 정체된 출국장면세점 매출을 상승시킬 수 있다고 기대하는 눈치다.  

 

▲인포그래픽 제작=육해영 기자

 

하지만 시내면세점이 대표적으로 발달된 우리나라와 해외공항은 전혀 다른 시장을 형성하고 있어 해외공항의 사례를 우리나라의 환경에 직접 대비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는 지적이다. 인천공항이 예시로 든 히드로공항의 경우 2016년 항공수익이 60.4%, 비항공수익이 39.6%으로 항공수익이 훨씬 높다. 부족한 비항공수익을 보완하기 위해서 온라인 서비스를 시행 중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여행객 환승율이 낮은 싱가폴 창이공항의 경우 비항공수익이 63%로 높았다.

인천공항은 비항공수익 비중이 큰 공항 중 하나이다. 황희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 양천갑)이 공개한 인천공항 자료에 따르면 18년 총 수익 2조6,511억 원 중 항공수익은 8,922억 원(33.7%)에 불과했다. 반면 비항공수익은 항공수익의 두 배에 달하는 1조7,589억 원(66.3%)이다. 사실상 면세점 임대료 수입이 비항공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인천공항은 항공기 착륙료, 공항이용료, 환승객 유치 등 항공수익의 핵심적인 비중을 높이려는 노력보다 면세점 임대료 수익 증가와 같은 손쉬운 방법으로 매출을 증가시켜려고 하고 있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한 이유다. 

[ⓒ (주)티알앤디에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육해영 기자

TR&DF 뉴스레터

TR&DF 뉴스레터
등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