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김포서 뜨고 제주·김해서 내리는 무착륙 관광비행 준비
- ‘지역관광 연계 국제관광비행’으로 이르면 8월말 시작
출·도착이 달라 지역관광과 연계상품 나오면 주목 -
- 기사입력 : 2021-07-08 14:41:07
- 최종수정 : 2021-07-26 11:17:01
- 김재영 기자
이르면 8월 말부터 무착륙 관광비행이 출발공항과 도착공항이 다른 새로운 방식이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과는 달리 인천공항이나 김포공항에서 출발해 도착 공항은 제주나 부산 김해공항으로 착륙하는 방식으로 변화된다. 지난 6월 28일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짧게 언급됐던 ‘출·도착 공항이 다른 무착륙 관광비행’ 프로그램 세부명칭이 ‘지역관광 연계 국제관광비행’으로 명명돼 8월 말을 목표로 준비 중인 것으로 확인 됐다.
국토교통부 국제항공과 무착륙 관광비행 관계자는 8일 “현재 항공사들과 협의를 통해 7월 말부터 8월 말까지 무착륙 관광비행 운항계획 수요를 조사 중”이라며 “출발공항에 다시 도착하는 기존 무착륙 관광비행과는 달리 새롭게 도입할 ‘지역관광 연계 국제관광비행’도 협의를 하고 있어 8월 말은 되어야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이 관계자는 “항공사들이 상품준비와 홍보 및 모객에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고, 출·도착 공항이 다르기 때문에 도착공항에서 숙박을 한다거나 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상품 구성도 가능하다”며 “이를 위해 여행사와 상품 구성이 필요한 상황이라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답했다.
1단계 무착륙 관광비행은 지난해 12월부터 시작돼 인천공항에서 출국수속을 밟은 뒤 주변국 해외 영공을 선회한 후 다시 인천공항으로 도착하는 단순한 루트였다. 2단계는 5월부터 지방공항 출발 일정이 추가됐다. 5월 무착륙 관광비행은 기존 인천공항 외에 김포공항과 김해공항, 그리고 대구공항 등에서 출발하고 도착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에 도입되는 ‘지역관광 연계 국제관광비행’은 진행과정상 3단계에 해당해 인천이나 김포공항에서 출발하고 해외 상공을 선회 후 제주공항이나 김해공항으로 내릴 수 있다.
특히 프로그램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도착한 공항 주변 지역관광 프로그램과 연계상품 구성이 가능해 기존 무착륙 관광비행의 인기가 시들한 가운데 새로운 모멘텀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면 인천공항에서 출발한 후 일본 상공을 선회한 후 제주공항에 내리면 무착륙 관광비행은 일단 끝난다. 그러나 지역연계 관광 프로그램이 사전에 포함된 상품이 개발되고 이를 구매한 이용객이라면 추가로 지역 관광이 가능해 가족 단위 여행 프로그램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처럼 무착륙 관광비행이 단순히 해외항공을 선회한 후 2~3시간 만에 끝나는 단순 방식에서 보다 자유도가 높아질 수 있고 지역관광과 연계된 상품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기존 단발로 끝나는 1·2단계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갖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출발 공항과 도착 공항만 다른 형태의 무착륙 관광비행이고 항공사와 여행사의 프로그램 구성에 자유도가 있어 일단 협의 중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수요조사가 끝나지 않아서 좀 더 기다려 봐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국내 면세업계 관계자는 “기존 무착륙 관광비행의 장점이 해외여행이 완전히 단절된 상태에서 해외여행 기분을 낼 수 있다는 장점과 면세쇼핑 등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많은 관심을 받았고 전체 매출액 대비 관광비행 고객의 매출액이 크지는 않았지만 내국인 고객의 매출이 많이 낮아진 상황에서 도움은 되는 수치였다”며 “새롭게 도입되는 프로그램에 맞춰 면세점들도 다양하고 새로운 방식의 내국인 마케팅 전략을 준비중이다”고 전하고 있다.
[ⓒ (주)티알앤디에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