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신라·신세계·두산’ 인천공항 T1 입찰 참여

롯데 반납한 인천공항 면세점 4파전
24일 ‘임대료 입찰 가격’ 제시가 관건
  • 기사입력 : 2018-05-23 17:47:51
  • 최종수정 : 2018-08-24 14:13:18
  • 김선호
▲사진=김선호 기자 /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 롯데면세점 향수·화장품 매장
인천국제공항 출국장면세점 DF1·5에 롯데·신라·신세계·두산 4개사가 2개영역에 모두 입찰 참가 등록을 마쳤다. 인천국제공항공사 여객서비스본부 상업시설처 김태성 면세사업팀장은 “국내 공항면세점에서 철수한 이력이 있다면 패널티 적용 대상이 된다”며 24일 입찰가격 및 사업제안서 제출에 이어 오는 30일에 경쟁 프리젠테이션이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인천공항은 DF1(동편, 향수·화장품)과 DF8(탑승동, 전품목) 두 개 사업권을 DF1으로 통합, DF5(중앙, 피혁·패션) 면세점 영역 2개영역을 지난 4월 13일 입찰 공고했다. 또한 2개 사업권에 대한 중복 낙찰을 이례적으로 허용해 ‘독과점’ 시장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시됐다.

롯데면세점의 경우 인천공항 면세점을 철수 결정했기 때문에 평가 과정에서 패널티가 적용된다. 인천공항 관계자는 “롯데면세점이 패널티를 적용받는 것은 명확하다. 그러나 얼마나 감점이 될 지는 밝힐 수 없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내비쳤다.

신라면세점은 DF1 영역을 차지할 시 인천공항의 향수·화장품 품목 90% 점유율을 보이게 된다. 특히 DF5 영역까지 모두 석권하게 되면 인천공항 전품목에서 68% 점유율을 차지하게 된다. 독과점 문제가 부각될 수 있는 요소다. 공정거래위원회도 이에 대해 우려를 표한 바 있다.

때문에 24일 입찰이 면세업계에서 초미의 관심을 끌고 있다. 롯데면세점은 감점을 상쇄할 수 있는 가격으로, 신라는 독과점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사업제안서로 승부를 걸어 볼 것으로 예상된다 . 또한 신세계·두산도 롯데·신라와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전략이 절실한 상황이다.

신세계면세점의 경우 제2여객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는 신세계디에프로 입찰에 참여한 만큼 이번 경쟁에 기대감이 크다. 두산은 공항면세사업에 첫걸음을 뗀 만큼 사업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는 업계의 분석이다.

[ⓒ (주)티알앤디에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TR&DF 뉴스레터

TR&DF 뉴스레터
등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