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면세점 작년 영업이익 역대 최저...공항점서 ‘1,925억 원 손실’

시내점 ‘2,450억 원’ 영업이익...공항에서 적자
작년 영업이익 ‘25억 원’...특허수수료 증가요인
“올해 시내·온라인면세점 경쟁력 강화 및 확대”
  • 기사입력 : 2018-04-02 16:39:26
  • 최종수정 : 2018-08-20 17:38:59
  • 김선호
롯데면세점(대표이사 장선욱)이 국제회계기준(K-IFRS) 연결 재무제표 기준 2017년 매출 5조 4,539억 원, 영업이익 25억 원 실적을 기록했다고 2일 (주)호텔롯데 공시를 통해 밝혔다. 다만, 부산점 김해공항점 등 (주)부산롯데호텔법인은 실적에서 제외됐다.

롯데면세점은 2017년 실적에서 시내점에선 2,450억 원의 영업이익을 냈으나 공항점은 1,925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사드 위기로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발길이 끊긴 가운데 인천국제공항 임대료 및 특허수수료 증가부담으로 인해 영업이익이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인천국제공항 3기 면세사업 2년차까지 롯데면세점은 400억 원이었던 임대료가 3년차로 접어든 작년 9월부터는 월평균 620억 원(55% 증가)으로 늘었다. 관련해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수차례 임대료 조정협상을 벌였으나 합의점을 못 찾고 지난 2월 계약해지 공문을 접수하면서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주류·담배 매장을 제외하고 철수 절차에 돌입했다. 롯데면세점 인천공항점 2017년 매출은 1조 1천억 원 가량이었으나 인천공항에 납부한 임대료는 5천 8백억 원으로 매출의 절반을 넘는 수준이다.

▲사진=롯데면세점 제공 / 롯데면세점 로고

인천공항 임대료 부담에 이어 면세점 특허수수료 증가 또한 롯데면세점 실적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롯데면세점은 총 352억 원을 특허수수료에 반영했다. 이는 2016년 납부한 특허수수료 26억 원보다 1,254% 증가한 수치다. 특허수수료는 영업이익이 아닌 매출 기준으로 산정되기 때문에 영업이익이 축소돼도 늘어나는 구조다.

올해 롯데면세점은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주류·담배 매장을 제외한 채 올해 상반기 이후 매장을 철수할 예정이다. 공항 임대료 부담이 하반기부터 줄어드는 만큼 개선된 수익구조를 바탕으로 시내면세점 경쟁력을 강화하고 온라인면세점 마케팅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동남아 및 기타 국적 외래객을 적극 유치해 중국인 관광객 매출 의존도를 분산시켜 대외적인 불안요소를 줄여나갈 계획이다. 함께 해외사업 확장에도 총력을 기울인다는 목표도 밝혔다. 해외점 매출은 베트남 다낭공항점 진출 첫해 흑자 기록, 일본 도쿄 긴자점 전년대비 150% 성장으로 2017년 1,4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45% 성장한 수치다.

롯데면세점은 베트남 나트랑 공항점, 호찌민, 하노이 등 베트남 주요 도시 및 기타 국가에 추가 출점을 검토 중이며, 이를 통해 향후 해외점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 (주)티알앤디에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

TR&DF 뉴스레터

TR&DF 뉴스레터
등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