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유통은 데이터와 AI의 시대”
- 2018 유통산업포럼서 “데이터는 자산”
개인화 시대 속 가상현실 서비스 제공
빅 데이터와 AI 활용, 진단과 결과까지 -
- 기사입력 : 2018-03-22 10:57:30
- 최종수정 : 2018-08-20 14:57:50
- 김선호
‘2018 유통산업포럼’이 22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조선비즈 주최로 개최됐다. 기조연설은 알리바바그룹 전 부사장 Porter Erisman과 김연희 보스턴컨설팅그룹 아시아태평양 유통부문 대표가 맡았다.
Porter Erisman 전 부사장은 “데이터가 많을수록 AI는 더 잘 작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온라인 ‘티몰’은 그 안에서 브랜드를 구축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제 알리바바는 가상현실을 도입해 게임처럼 소비자가 쇼핑을 하도록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김연희 대표는 “이제 디자이너가 스케치를 하면 그 안에서 AI가 빅 데이터를 분석해 제품의 색을 칠하고 재질을 결정하는 단계까지 와 있다”며 “유통의 모든 것이 변할 것이라고 감히 말하겠다”고 전했다.

특히 김 대표는 “현실과 가상현실이 다르고, 별개라는 인식이 많았다. 그러나 지금은 오버레이되는 현상이 발견되고 있다”며 빅 데이터와 AI의 활용의 유용성을 역설했다. 그는 “AI기술은 이미 이전부터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 왜 이슈가 되었는지 생각해 봐야 한다. 2012년 딥러닝을 통해 에러율은 급격히 낮아짐에 따라 활용도는 급격히 늘었다. 지금은 약 3%의 에러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AI가 이슈가 된 이유는 바로 데이터다. 그 이전까지만 해도 데이터가 없었지만 그 안에 빅 데이터를 넣고 분석하고 도입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시장성이 나타난 것이다”라고 밝혔다.
때문에 빅 데이터가 곧 유통업체의 자산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통업체는 소비자와 직접적으로 만날 뿐만 아니라 상품 혹은 제품에 대한 정보가 집중되는 곳이기도 하다. 때문에 해당 데이터를 많이 보유하고 있을수록 AI를 통한 시장전략의 성공 가능성이 높아지는 셈이다. 소비자의 니즈를 가장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적절한 전략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Porter Erisman 전 부사장은 이와 관련해 가상현실을 통한 소비의 사례를 발표했다. 가상현실을 통해 소비자는 각국을 돌아다니는 체험할 수 있게 되며, 그 공간 속에서 원하는 제품을 쇼핑하고 바로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가고 있다는 설명이다. VR을 통해 소비자는 미국, 일본 등 여러 국가를 여행하며 게임처럼 제품을 구매하는 세상이 열릴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는 “중국에서 온라인 시장은 실패할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었다. 그 안에서 알리바바가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은 바로 ‘다르게 생각한다’는 점이다. 신뢰를 쌓으며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했으며 이에 따라 거대한 빅 데이터가 쌓였다”며 “이제는 빅 데이터를 활용한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고 밝혔다.
[ⓒ (주)티알앤디에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선호
- 다른기사보기